찬란
다중화 (Multiplexing) 본문
해당 블로그의 내용은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개인적으로 정리한 내용이므로,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.
다중화 (Multiplexing)
- 단일 링크를 통하여 여러 개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
- 링크의 대역폭이 필요 대역폭보다 크다면 여분의 대역폭은 낭비되는 것
- $n$개의 장치가 단일 링크의 대역폭을 공유
- 넓은 대역폭을 여러개의 좁은 대역폭으로 나누어서 사용하는 것을 다중화라고 한다.
- 다중화 시스템 기본 형식
- 다중화기(MUX, multiplexer) 전송: 전송 스트림을 단일 스트림으로 결합 (many to one)
- 다중복구기(DEMUX, Demultiplexer): 스트림을 각각의 요소로 분리, 전송 스트림을 수신자에게 전달
- 링크(Link): 물리적인 경로
- 채널(Channal): 한 쌍의 장치간에 전송을 위한 하나의 경로
- 주파수 분할 다중화(FDM)
- 파장 분할 다중화(WDM)
- 시분할 다중화(TDM)
주파수 분할 다중화 (FDM,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)
- 전송되어야 하는 신호들의 대역폭을 합한 것보다 링크의 대역폭이 클 때 적용할 수 있는 아날로그 기술
- 신호가 겹치지 않도록 보호 대역(guard band)만큼 떨어져 있어야 한다.
- 다중화 과정
- 각 소스는 유사한 주파수 범위의 신호를 생성
- 각 신호들은 다중화기 내부에서 서로 다른 반송 주파수로 변조
- 각 변조 신호들을 하나의 복합 신호로 결합
- 이 신호를 수용할 수 있는 대역폭을 가진 매체 링크를 통해 전송
- 다중화 복구 과정
- 필터를 사용하여 다중화된 신호를 구성요소의 신호들로 분리
- 각 신호는 복조기 내에서 반송파로부터 신호만 분리하여 수신 장치로 전달
아날로그 반송파 구조
- 전화 회사에서 사용하는 방식
- 낮은 대역폭 회선들을 높은 대역폭 회선들로 다중화
- 아날로그 회선에서는 FDM이 사용
파장 분할 다중화 (WDM,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)
- 광섬유의 고속 데이터 전송률을 이용하기 위한 설계
- 광섬유의 데이터 전송률은 금속 전송 매체에 비해 높음
- FDM보다 높은 주파수 사용
- 광섬유 신호를 조합하기 위한 아날로그 다중화 기법
- 다중화 과정
- 다중 빛 소스를 단일 빛으로 결합
- 단일 빛은 다중 빛 소스로 분리
동시 시분할 다중화 (TDM, Time Division Multiplexing)
- 높은 링크 대역폭을 여러 연결이 공유하는 디지털 처리방식
- 다른 발신지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하나의 시간 공유 링크로 통합
- 여러 개의 저속 채널을 하나의 고속 채널로 조합하는 디지털 다중화 기술
동기식 TDM
- 시간 틈새(time-slot)
- 프레임(frame)
- 끼어넣기(interleaving)
- 다중화기 쪽과 다중화 복구장치 쪽에서 매우 빠르게 도는 교환기 2개로 표현
- 교환기는 연결 앞에서 열리게 되며, 그 연결이 경로에 한 단위를 전송할 기회를 획득하는 과정
- 빈 틈새(Empty slots)
- 발신자가 전송할 데이터가 없다면 해당 틈새가 비게 됨
- 동기식 TDM은 그렇게 효율적이지 않음!
- 입력 측 데이터들이 서로 다른 경우 해결 방법
- 다단계 다중화
- 다중-틈새 할당
- 펄스 채워넣기
다단계 다중화 (Multi-level multiplexing)
- 입력의 데이터 전송률이 다른 것들에 비해 정수 배만큼 빠를 때 사용되는 기술
- MUX를 통한 데이터율 통합으로 입력 데이터 통일
다중 틈새 할당 (Multiple-slot allocation)
- 단일 입력 회선에 1개보다 많은 틈새를 할당하는 것
- DEMUX를 통한 데이터율 분할로 입력 데이터 통일
펄스 채워넣기 (Pulse stuffing)
- 가장 높은 데이터율의 입력 회선을 주 데이터율로 하고, 그보다 낮은 데이터율에는 공 비트(empty bit)를 채워 넣는 것
- 비트 패딩, 비트 채워넣기라고도 함
프레임 동기화 (Frame synchronization)
- 다중화기와 다중화 복구 장치 사이의 동기를 맞추는 것
- 프레임 구성 비트(framing bits): 1개 이상의 비트를 각 프레임의 앞에 끼워 넣는 것
디지털 신호 서비스
아날로그 전송용 T 회선
- 디지털 데이터, 음성 또는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설계
- 아날로그 신호가 일단 표본 채집된 후, 시분할 다중화된다면 아날로그 전송
- 일반 전화통화
통계식 시분할 다중화
- 입력 회선이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만 출력 프레임의 틈새를 할당
'데이터 통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송 매체 (1) - 유도 매체 (0) | 2023.04.21 |
---|---|
대역 확산 (SS) (0) | 2023.04.21 |
아날로그-아날로그 변환 (AAC) (0) | 2023.04.21 |
디지털-아날로그 변환 (DAC) (0) | 2023.04.21 |
아날로그-디지털 변환 (ADC) (0) | 2023.04.21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