찬란
메모리(Memory) 란? 본문
해당 블로그의 내용은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개인적으로 정리한 내용이므로,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.
메모리 (Memory)
데이터 저장
- 기억장치 >> OS, SW, 사용자 데이터 등
메모리 종류
- 속도 비교
- 레지스터 > 캐시 > 주기억장치 > 보조기억장치
주기억장치 (Main memory)
- 프로세서가 수행할 프로그램과 데이터 저장
- DRAM (Dynamic Random Access Memory, 동적 임의 접근 메모리) 주로 사용
- 용량 크고, 가격 저렴
- 디스크 입출력 병목현상(I/O bottleneck) 해소
- RAM
캐시 (Cache)
-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(L1, L2 등). 속도 빠르고, 가격 비쌈
- 메인 메모리 입출력 병목현상 해소
- 메인 메모리에서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해두어 속도를 빠르게 한다.
- 일반적으로 하드웨어(HW)적으로 관리됨
- 캐시 히트(Cache hit)
- 필요한 데이터 블록이 캐시에 존재
- 캐시 미스(Cache miss)
- 필요한 데이터 블록이 캐시에 없음
캐시의 지역성 (Locality)
- 공간적 지역성(Spatial Locality)
- 참조한 주소와 인접한 주소를 참조하는 특성 ex) 순차적 프로그램 수행, 배열 접근
- 시간적 지연성(Temporal Locality)
- 한 번 참조한 주소를 곧 다시 참조하는 특성 ex) For문 등 반복문 수행
- 지역성은 캐시 적중률과 밀접
보조기억장치 (Auxiliary memory / Secondary memory)
-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
- 프로세서가 직접 접근할 수 없음
- 주기억장치를 거쳐서 접근
- 용량 크고, 가격 저렴
메모리와 운영체제(OS)
메모리 할당 및 관리
-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른 메모리 할당 및 회수
- 할당된 메모리 관리
- 가상 메모리 관리
- 가상메모리 생성 및 관리
- 논리주소 -> 물리주소 변환
'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메모리 관리 (Memory Management) (0) | 2023.06.10 |
---|---|
레지스터(Register)에 대하여 (0) | 2023.04.20 |
교착상태(Deadlock)에 대하여 (0) | 2023.04.18 |
프로세스 동기화 & 상호배제 (Synchronization & Mutual exclusion) (0) | 2023.04.15 |
프로세스 스케줄링 (Process Scheduling) (1) | 2023.04.15 |
Comments